조선

군사 제도

진관 체제

  • 진관 체제(鎭管體制)는 15세기 세조 이후 실시되었던, 지역 단위의 방위 체제이다.

  • 각 도에 병영을 설치하여 주진과 그 아래에 거진, 제진을 설치하여 각 지역의 지방관이 지휘하는 체제로 소규모 적의 침략과 내륙을 방어하는데 효과적이지만 대규모 적의 침략을 방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.

  • 대립제, 방군수포제 등, 군역이 문란해짐에 따라 병력자원이 줄어 전투력 유지가 어렵다.

제승방약 체제

  • 제승방략(制勝方略)이란 조선의 분군법(分軍法) 군사정책으로 진관 체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고안되었다.

  • 적의 침입에 맞서 각 지역의 군사를 요충지에 집결시킨 다음 중앙에서 파견한 장수가 이를 통솔토록 하는 방법으로 1만 이상의 대규모 전에는 효과를 발휘하였으나 그 본진이 무너지면 그 후방은 모두 적에게 노출되는 불리함을 가지고 있었다.

  • 임진왜란 초기 패전의 원인이 되어 이후 폐지되었다.

속오군

  • 1594년(선조 27) 임진왜란 때 역(役)을 지지 않은 양인과 천민 중에서 조련을 감당할 수 있는 사람으로 편성되었다.

  • 이들은 평상시에는 군포(軍布)를 바치고 유사시에만 소집되었다.

문호 개방

  • 1860 흥선대원군

    • 통상수교 거부!!

  • 1870 명성황후

    • 개항

    • 1876 강화도조약

      • 조일수호조규 (부록)

        • ~여행

        • 화폐

        • 조계

        • 간행이정 10리

      • 조일통상장정

        • 무항세

        • 무관세

        • 무제한유출

  • 1880

    • 조미수호통상조약

      • 2차 수신사 김홍집 <-> 1880 황준헌 조선 책략 (친중국, 결일본, 연미국) -> 1881 영남만인소

참조